논평하기

저는 2011년부터 현재까지 성균관대학교에서 <학술적 글쓰기> 과목을 강의하고 있습니다. 다른 대학에서도 강의를 했지만, 성균관대학교에서 가장 많은 시간 강의를 하네요.

  <1> 현안문제 주어진 글의 내용이 답하고자 하는 물음.
  <2> 핵심어 내용 전체를 논리적으로 특징짓는 낱말
  <3> 주장 주어진 글의 내용이 최종적으로 제시하는 답
  <4> 근거 주장이 옳다고 생각할 만한 이유를 밝히는 내용

 

학술적 글쓰기는 성균관대학교 교양필수 과목입니다. 이 과목은 얼핏 봐서는 철학과 상관이 없어 보일지 모르겠습니다. 하지만 그 내용이 근본적으로 자신의 비판적 사고 내용을 글로 표현한다는 점에서 철학과 다소 밀접하게 관련됩니다. 또한 적어도 현대에 있어서 철학하기와 철학 자체의 발전는 (학술적) 글쓰기를 통해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이 과목이 철학과 관련이 깊지요.

 

 

<영화로 읽는 윤리학>

   

  파깨비의 강의자료
  철학을 가르쳐 보면... 어려운 점.
  서울대 음대 A교수의 '어떤 레슨'
  세계 철학자 대회에서[2]
  공부 자료실
  언어분석철학의 한계와 실패
  언어분석철학: 언어에 대한 그림이론에서 규약으로의 관...
  언어적 절대주의(linguistic absolutism): 논...
   

 

 

 

 

 


이 홈페이지의 모든 내용에 대한 저작권은 파깨비에게 있으며, 각 게시판의 내용물에 대한 저작권은 각 저자에게 있습니다.